Net-Zero
							SK스퀘어는 2040년을 목표로 탄소 중립 달성 전략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Net-Zero
							SK스퀘어는 2040년을 목표로 탄소 중립 달성 전략을 수립하고 
기후변화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사회적 노력에 적극 동참하고 있습니다.
						
Net-Zero 2040
									SK스퀘어는 대한민국의 탄소중립(Net-Zero) 목표인 2050년보다 앞선 2040년을 탄소중립 달성 시점으로 설정하였으며, 이는 RCP(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와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의 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를 바탕으로 설정되었습니다. 특히, 온실가스 감축 정책이 실현되는 RCP 4.5와 배출량이 현 수준으로 지속될 경우를 가정한 RCP 8.5 시나리오 모두를 고려하여, 현실적인 대응과 중장기 리스크를 동시에 반영하였습니다. 이를 기반으로 SK스퀘어는 온실가스 배출 감축을 위한 직접 감축(Direct Reduction)과 간접 감축(Indirect Reduction) 전략을 병행하고 있습니다. 직접 감축에는 사내 차량의 전기차 전환 등이 포함되며, 간접 감축은 재생에너지 구매 확대 등을 통해 이뤄지고 있습니다. 향후에는 RE100 참여 가능성을 검토하는 등 기후변화 대응 범위를 점진적으로 확대하고, 감축 이행 계획의 정밀도와 실행력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2040년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해 나갈 예정입니다.
아울러, SK스퀘어는 대내·외 경영 환경 변화와 글로벌 규제 동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며, Net-Zero 이행의 실현가능성을 높이기 위한 목표와 실행 전략을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신속하게 조정해 나갈 계획입니다. 또한, 이러한 과정은 이해관계자에게 투명하게 공개하여 책임경영을 강화해 나가겠습니다.
								
* 대표농도경로(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 온실가스 농도에 따른 기후변화 시나리오
** 2100년까지 지구의 평균 온도 상승폭을 산업화 이전 수준 대비 1.5˚C로 제한하기 위해 분석한 온실가스 배출경로 보고서
									온실가스 배출 목표 
(Scope 1+2)
								
| 예상 배출량(2021년 BAU1)) | |||
|---|---|---|---|
| 단위 | tCO₂eq | ||
| 2030년 | 713.6 | ||
| 2035년 | 779.6 | ||
| 2040년 | 849.4 | ||
| 배출 목표2) | |||
|---|---|---|---|
| 단위 | tCO₂eq | ||
| 2030년 | 308.9 | ||
| 2035년 | 154.4 | ||
| 2040년 | 0 | ||
| BAU 대비 배출 목표 비율 | |
|---|---|
| 단위 | % | 
| 2030년 | 43 | 
| 2035년 | 20 | 
| 2040년 | 0 | 
| 구분 | 단위 | 2030년 | 2035년 | 2040년 | 
|---|---|---|---|---|
| 예상 배출량 (2021년 BAU1)) | tCO₂eq | 713.6 | 779.6 | 849.4 | 
| 배출 목표2) | tCO₂eq | 308.9 | 154.4 | 0 | 
| BAU 대비 배출 목표 비율 | % | 43 | 20 | 0 | 
1) BAU(Business As Usual): 특별한 조치를 취하지 않을 경우 배출될 것으로 예상되는 미래 온실가스 배출전망치
2) 시장기반 배출 목표임
									온실가스 배출 실적 
(Scope 1+2)
								
| 지역기반 | |||
|---|---|---|---|
| 단위 | tCO₂eq | ||
| 2022년 | 594.6 | ||
| 2023년 | 635.5 | ||
| 2024년** | 611.2 | ||
| 시장기반* | |
|---|---|
| 단위 | tCO₂eq | 
| 2022년 | 594.6 | 
| 2023년 | 401.2 | 
| 2024년** | 370.9 | 
| 구분 | 단위 | 2022년 | 2023년 | 2024년** | 
|---|---|---|---|---|
| 지역기반 | tCO₂eq | 594.6 | 635.5 | 611.2 | 
| 시장기반* | tCO₂eq | 594.6 | 401.2 | 370.9 | 
* 지역기반 배출량에서 녹색프리미엄 구매를 통해 조달한 재생에너지 사용량을 제외하여 산정한 수치
** 2024년 목표(시장기반) : 457.8 tCO₂eq
※ 형식 통일을 위하여 온실가스 검증의견서 상 수치(지역기반 611.186, 시장기반 370.915)를 반올림하여 표기하였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