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대응
SK스퀘어는 이사회 및 경영진에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논의하며, 리스크 및 기회 식별, 대응 프로세스를 통해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
SK스퀘어는 이사회 및 경영진에서 기후변화 대응 전략을 논의하며, 리스크 및 기회 식별, 대응 프로세스를 통해 경영 전반에 미치는 영향을 관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대응
거버넌스
기후변화 대응 프로세스
기후변화 대응 이사회 논의사항
Net-Zero 2040
SK스퀘어는 기후변화로 인한 기간별 위험 및 기회요인을 분석하여 대응하고 있으며, 기후변화 리스크 관리 프로세스를 수립하여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리스크와 기회
리스크 | |||
---|---|---|---|
물리적 리스크 | 전환 리스크 | ||
단기 (~2024년) |
|
|
|
중장기 (2025~ 2040년) |
|
기회 |
---|
|
재무영향 분석 및 사업 전략 |
---|
|
구분 | 단기(~2024년) | 중장기(2025~2040년) | |
---|---|---|---|
리스크 | 물리적 리스크 |
|
|
전환 리스크 |
|
|
|
기회 |
|
||
재무영향 분석 및 사업 전략 |
|
* 녹색프리미엄 제도는 전기 소비자가 한국전력공사에 기존 전기요금에 프리미엄을 추가로 납부하고 재생에너지 생산된 전력을 구매하는 방식입니다.
** 2023년 감축 목표량 180.3t ÷ 배출계수 0.0004594 tCO2eq/kWh =393MWh, 배출계수 오차를 감안하여 400MWh 입찰(입찰하한가격인
kWh 당 10원 적용하여 400만 원 비용 예상)
위험관리 (전사 리스크 식별 및 관리 프로세스)